안녕하세요!
이번 7월18일부터 신청받고 있는 청년내일저축계좌!
잘알아보고 신청해야겠죠?
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자격부터 신청방법까지 알려드립니다!
지원대상
연령, 소득기준, 가구소득, 가구재산 4가지를 모두 충족한 청년을 지원합니다.
1. 가입연령 : 신청 당시 만 19세~만 34세청년
※단, 수급자,차상위자, 기준 중위소득 50%이하자는 만 15세~만39세까지 허용)
2. 소득기준 : 기준중위소득 50%초과~100%이하일 경우 근로 사업소득이 월 50만원 초과 ~ 월 200만원 이하
※단, 수급자, 차상위자, 기준 중위소득 50%이하자는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근로,사업소득이 있는 청년
(월50만원 이하도 상관없음)
3. 가구소득 :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
4. 가구재산 : 대도시 3.5억원, 중소도시 2억원, 농어촌 1.7억원 이하
참고자료 : 2022년 기준 중위소득표
신청불가 대상자
중앙정부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사업 중 아래 해당사업에 참여(예정)중이거나 과거 이러한 사업의 혜택을 받은 자(가구)는 중복참여가 불가하니 상세내용은 사업안내 또는 담당자를 통해 확인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- 복지부 자산형성지원사업과 지원대상, 목적, 지원방식 등이 유사한 자산형성지원사업
(예 : 서울시 '희망두배 청년통장' , 고용노동부 '청년내일채움공제' 등 유사 자산형성지원사업)
- 복지부 자산형성지원사업과 중복지원을 금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사업
- 단, 지원대상과 목적이 다른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자(가구)는 중복참여 가능
(예 :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'디딤씨앗통장' , '꿈나래통장'등)
서비스 내용
본인 저축 납임자에 한하여 매월 본인저축액 10만원 이상(매월 전월23일~현월 22일 입금마감일 이전)경우 소득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부지원금을 지원합니다.
- (기준중위소득 50% 이하) 30만원 전액 매칭
- (기준중위소득 50% 초과 ~ 100% 이하) 10만원 정액 매칭
- 지원요건은 3년간 통장유지, 근로활동 지속, 교육이수,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시 적립금 전액 지급됩니다.
- 정책대상별 추가지원금(근로소득공제금(생계급여 수급 청년), 탈수급장려금, 내일키움장려금, 내일키움수익금 등)
추가 지급 가능합니다.
신청 방법
가입희망자는 '22년 7.18 ~ 8.5까지 복지로(www.bokjiro.go.kr)을 통해 온라인 신청
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접수 가능
대한민국 대표 복지포털 '복지로' (bokjiro.go.kr)
teu/app/main/Main
www.bokjiro.go.kr
- 복지로를 통한 온라인 신청은 해당 신청 절차에 따라 진행
- 신청 시작 2주간(7.18 ~ 7.29)은 출생이로 구분하여 5부제 시행
⊙ 월요일(7월18일, 7월25일)에는 출생일 끝자리가 1,6인 청년(ex. 1991년, 1996년)
⊙ 화요일(7월19일, 7월26일)에는 출생일 끝자리가 2,7인 청년
⊙ 수요일(7월20일, 7월27일)에는 출생일 끝자리가 3,8인 청년
⊙ 목요일(7월21일, 7월28일)에는 출생일 끝자리가 4,9인 청년
⊙ 금요일(7월22일, 7월29일)에는 출생일 끝자리가 5,0인 청년
- 복지로 신청은 해당일 00시부터 23시 59분까지 신청할 수 있고, 5부제 기간동안 신청하지 못한 경우
3주차(8월1일~8월5일)에 5일간 추가 신청이 가능(5부제아님, 자율)
온라인신청방법
- 복지로에서 청년저축계좌 신청방법
이 다음부터는 순서대로 시스템에서 하라는대로 하면 됩니다.
더 알려드리고 싶었지만 오늘은 수요일 제 출생년도와 맞지않아 더이상 진행이 어려워서 여기까지만 알려드립니다ㅜㅜ
처리절차
문의처 및 추가정보
이렇게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.
도움이 되셨나요?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! 다음에도 더 알찬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.
감사합니다!

'일상에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스타그램 계정찾기_2탄 (2) | 2022.12.13 |
---|---|
인스타그램 계정찾기 _ 1탄 (0) | 2022.12.06 |
기저귀 바우처 잔액 궁금하신가요? (0) | 2022.06.24 |
건강iN에서 영유아건강검진 발달선별지 작성하기! (0) | 2022.06.07 |
건강검진 대상자 확인방법 및 검진기관찾기 (0) | 2022.06.07 |